뉴스
시민이 만드는 안전한 거리… 시흥시 '공유자전거·킥보드 불법주차 신고방'
- Neptune 15일 전 2025.07.18 11:53
-
25
0
시민이 만드는 안전한 거리… 시흥시 '공유자전거·킥보드 불법주차 신고방'
공유자전거와 전동킥보드의 확산은 도시의 새로운 이동 트렌드를 만들어냈지만, 동시에 무단 방치로 인한 보행 불편과 안전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 시흥시(시장 임병택)가 운영 중인 ‘공유자전거 & 전동킥보드 불법주차 신고방’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 > 시흥시청 도로시설과
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은 공유 모빌리티가 점점 일상화되면서 발생하는 불법 주정차 문제를 시민 참여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결하겠다는 ‘시민 중심 스마트 행정’의 일환이다. 시민 누구나 쉽게 접근해 불편 사항을 신고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실제로 운영 초기부터 점자블록, 횡단보도, 보도 중앙 등 보행 안전을 위협하는 방치 사례가 신속히 조치되며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다.
접속 방법도 간편하다. 카카오톡에서 ‘시흥시 공유자전거 & 전동킥보드 불법주차 신고방’을 검색하거나, 시에서 배포한 홍보물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채팅방에 들어가 실시간으로 불편 사항을 공유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무엇보다도 눈에 띄는 점은 민간 공유 모빌리티 기업들도 시의 취지에 공감하며 적극적으로 수거에 협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지자체와 기업, 시민이 함께 도시 질서를 만들어가는 좋은 사례로, 다른 지역에서도 충분히 벤치마킹할 수 있다.
시흥시 도로시설과 이희봉 과장은 “불법주차 신고방을 통해 시민 불편을 신속히 해소하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며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 같은 시흥시의 선도적 정책은 단순한 불편 해소를 넘어, 모빌리티 혁신과 도시 안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AI기반 모빌리티 시대에 ‘신고 → 수거’라는 행정절차를 실시간 시민 참여 시스템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디지털 기반 행정 혁신의 대표 사례로 꼽을 만하다.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는 물론, 공유 모빌리티 이용률이 높은 전국 주요 도시들도 시흥시의 ‘실시간 신고방’ 시스템을 참고해, 자체적인 오픈채팅 신고 시스템 또는 통합 앱 연계 신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행정의 핵심은 시민이 체감하는 효율성에 있다.
시흥시의 ‘카카오톡 신고방’은 그 출발점에서, 공유 모빌리티 시대를 위한 스마트 시정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민행 Neptune / iraon9@gmail.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